아직은 푼 사람이 많은 문제부터, 내가 모르는 문법은 필요없을 듯한 문제부터 시간이 날 때 풀고 있다.
- 문제 설명 : 두 정수 a, b가 주어졌을 때 a와 b 사이에 속한 모든 정수의 합을 return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a = 3, b = 5인 경우, 3 + 4 + 5 = 12이므로 12를 리턴합니다.
- 제한 조건
1. a와 b가 같은 경우는 둘 중 아무 수나 return하세요.
2. a와 b는 -10,0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
3. a와 b의 대소 관계는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 입출력 예
a | b | return |
3 | 5 | 12 |
3 | 3 | 3 |
5 | 3 | 12 |
-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a, b) {
if (Math.abs((a-b)%2) === 1) {
var add = (a+b)*(Math.abs(a-b)/2+0.5);
return add;
} else if (Math.abs((a-b)%2) === 0) {
var add = (a+b)*Math.abs(a-b)/2 + (a+b)/2;
return add;
} else if (a === b) {
return a;
}
}
단순하게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했고 이번엔 Math를 사용했다.
a와 b를 빼서 홀수가 나온다면, a와 b사이에는 짝수 갯수의 숫자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a=3, b=8일 때, a-b는 절대값으로 5이며 그 사이에는 4, 5, 6, 7와 같이 4개로 짝수 갯수의 숫자가 존재한다. 그러면 맨 끝자리 3과 8을 더해주고, 이를 전체 갯수를 2로 나눈 만큼 곱해주면 된다. 전체 갯수는 (a-b)/2+0.5로 구해주면 된다.

a와 b를 더해서 짝수가 나온다면, a와 b사이에는 홀수 갯수의 숫자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a=3, b=7일 때, a-b는 절대값으로 2이며 그 사이에는 4, 5, 6와 같이 3개로 홀수 갯수의 숫자가 존재한다. 그러면 맨 끝자리 3과 7를 더해주고, 이를 전체 갯수를 2로 나눈 만큼 곱해주면 된다. 전체 갯수는 (a-b)/2로 구해주면 된다. 그 이후 중간 숫자 5가 남게 되는데, 이는 (a+b)/2이다. 이를 마지막에 더해주면 된다.

그리고 a와 b가 같은 숫자일 때는 단순하게 a가 출력되도록 했다.
'프로그래밍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짝수와 홀수 (0) | 2021.12.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