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과학

 컴퓨터 과학은 문제 해결을 위한 학문이다. 이 때 문제 해결이란, 입력(input)을 전달 받아 출력(output)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입력을 출력으로 만들어주는 중간 과정이 컴퓨터 과학이다.

 

 진법

 일상 생활에서 우리는 0~9까지 총 10개의 숫자를 이용하는 10진법을 사용하지만, 컴퓨터는 0과 1로만 데이터를 표현하는 2진법을 사용한다. (컴퓨터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있고 이 트랜지스터는 전자의 이동에 의해 On/Off라는 2가지 동작이 실행된다. 이런 2가지 동작에 따라 0 혹은 1이라는 숫자를 인식할 수 있다)

 

 10진수를 2진수로 바꾸면 위의 사진과 같다. 만약 13(= 10x1 + 1x3)이라는 10진수를 2진수로 나타낸다면 1101(= 8x1 + 4x1 + 2x0 + 1x1)일 것이다.

 

 비트, bit는 binary digit의 약자이며 이진 숫자라는 뜻이다. 0과 1이라는 두 가지 값만 가질 수 있는 측정 단위이다. 비트 1개 로는 데이터를 표현하기에 부족하여, 비트 8개가 모인 바이트(byte)를 사용하고 있다.

 

 

 

* 부스트코스 CS50 강의를 학습하며 작성하였습니다. https://www.boostcourse.org/

* 정보 전달이 아닌 학습을 목적으로 작성하여 함축되어져 있는 부분이 많습니다.

'프로그래밍 > CS5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팅 사고 - 정보의 표현  (0) 2022.03.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