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튜브 나도코딩의 동영상을 시청하며 작성한 개인 학습용 글입니다.
* 나도코딩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7iAOLiALt2rtMVAWWl4pnw
자료형
숫자형
print(5)
print(-10)
print(3.14)
print(1000)
print(5+3)
print(2*8)
print(3*(3+1))
문자형
print('풍선')
print("나비")
print('ㅋㅋㅋㅋㅋㅋㅋ')
print('ㅋ'*7)
Boolean(True / False)
print(5 > 10)
print(5 < 10)
print(True)
print(not True) # False
not 연산자를 통해 뒤에 오는 값을 역으로 변환 시킬 수 있다.
변수
animal = '강아지'
name = '연탄이'
age = 4
hobby = '산책'
is_adult = age >= 3
JavaScript와는 달리(그나마 좀 배운 것이 JavaScript 밖에 없다), var이나 let, const와 같은 선언이 필요 없다.
print('우리집 ' + animal + '의 이름은 ' + name + '예요')
print(name + '는 ' + str(age) + '이며, ' + hobby + '을 아주 좋아해요')
# 파이썬에서 정수형을 문자형으로 출력할 때는 str을 붙여줘야 한다.
print(name + '는 어른일까요? ' + str(is_adult))
# Boolean형도 마찬가지로 문자형으로 출력하려면 str을 붙여줘야 한다.
JavaScript에서는 위에서 str을 사용한 것처럼 정수형을 문자형으로 바꿔줄 필요가 없으나, Python에서는 필요하다.
Boolean형도 마찬가지로 str을 써서 문자형으로 바꿔줘야 한다.
hobby = '낮잠'
print(name, '는', age, '이며 ', hobby, '을 아주 좋아해요')
# 연탄이 는 4 이며 낮잠 을 아주 좋아해요
Python에서는 그냥 변수 재할당이 가능하다.
그리고 쉼표를 사용해서 문자열들을 붙여줄 수 있다. 이 때 각 요소의 뒤에 공백 1칸이 추가된다. 또한, 쉼표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출력할 때는, 정수형이나 Boolean형에 str을 쓰지 않아도 된다.
퀴즈
Quiz) 변수를 이용하여 다음 문장을 출력하시오.
변수명
: station
변수값
: '사당', '신도림', '인천공항' 순서대로 입력
출력 문장
: xx행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station1 = '사당'
station2 = '신도림'
station3 = '인천공항'
sentence = '행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print(station1 + sentence)
print(station2 + sentence)
print(station3 + sen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