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엔지니어에 관한 컨텐츠로 가장 먼저 다룰만한 것이 뭐가 있을까 생각해보았다. 그리곤 얼마 전까지 해보았던 5개월 간의 셋업 업무가 기억에서 흐릿해지기 전에 얼른 적어야겠다고 느꼈다. 그리고 혹여나 '얼마 근무해보지도 않은 놈이 글을 쓰네?'라는 분이 있다면 그냥 욕 한번 날려주고 귀엽게 봐주시길 바랍니다 선배님! :)

Set-Up : (기계 등의) 구성, 장치, 설치, 설정
말 그대로 반도체 설비를 제 자리에서 가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신입사원 연수가 끝나고 나면 어떤 기술팀으로(설비엔지니어로서는 어느 공정으로 갈 것인지라고 보면 된다) 가고 싶은지 결정되는 면담이 진행된다. 아는 사람도 있겠지만 소위 말해 꿀이라는 소문이 자자한 기술팀의 경우는 눈치 게임이 시작된다. 'T/O도 적은데 내가 될까?', '못 먹는 감, 먹어나 볼까!'
나 같은 경우엔 셋업을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 가고자 했다.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것이 어떤 업무를 하든 장기적으로 봤을 때 좋을거라 생각했고, 기본기가 중요하다고 생각했었기 때문이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젠장!
면담에서 이러한 것을 어필해, 대부분이 가기 싫어하는 평택으로 발령이 났다^.^ 평택으로 발령이 날 경우 다시 어느 기술팀으로 가고 싶은지 면담을 거친다. 이 때는 내가 가고 싶은 기술팀으로 배정이 되었다.(면접부터 일관되게 어필한 것이 도움이 되었나?)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꿀인 곳에 지원 안해본 것이 조금은 후회가 된다. '여기 아니면 퇴사하겠습니다.'라고 배수의 진이라도 쳤어야 됐나...

셋업 업무를 해보기 직전까지는, 그래도 내가 어느 정도 장비나 부품을 설치하거나 장착하는 줄 알았다. '마! 내가 거 다 했어 임마! 전기도 연결하고! 장비도 옮기고! 나사 다 박고 임마!'라는 말을 하게 될 날이 올 거라 예상하면서 ㅎㅎㅎ 너무나도 멍청했다.
설비엔지니어가 직접 실질적으로 설치하는 거~~~~~~~의 없었다. 이해는 한다. 당연히 장비에 대해 더 잘 아는 장비사가 설치하는 것이 확실하고, 혹여나 설치가 잘못되어 귀책을 따질 때 당연한 처사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배관이나 전기 같은 경우는 숙련자가 아니면 많이 위험해 협력업체분들이 도맡아 한다. 그래도 아쉬운 것은 어쩔 수 없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보기만 하는 것보단 무엇이든 해봐야 깊이를 느낄 수 있지 않는가! 주구장창 '이거는 왜 하는 거에요?, 왜 그걸 해요? 이건 언제 하는 거에요?' 등 질문만 해댔다. 장비사 엔지니어분, 협력사 형님들 나때매 많이 귀찮았을 거다.
그렇다면 무엇을 했는가! 설비가 들어올 자리의 밑바탕 작업이나 가스나 전기 배관 설치의 현장과 앞으로의 일정 등을 확인해 겹치지 않게 조율한다던가 환경안전 관련 인증 업무, 부수적인 작업에 대한 업체 Arrange, 셋업 보고서 작성 등 말 그대로 관리자의 업무를 하게 된다. 진짜 설치는 못하면서 관리자라니... 조금 허탈했다. 관리하는 업무라지만 8시까지 출근해 7시 넘어서까지 일하는 등 잔업은 거의 일상이었고 1달에 2번 정도는 주말에 출근하는 특근도 있었다. 납기 또한 촉박했기 때문에 1가지 일이라도 틀어지면 예민해질 때도 있었다.
근데 지금 생각해보면 이 때가 몸은 힘들지만 그래도 정신적으론 즐거웠던 것 같다. 교대 근무를 돌아보니 나한텐 셋업 업무가 그리울 때가 많다... 야근은 잦았지만 동료분들과 농담도 하며 일했고 끈끈함이 있었다. 주간에 일하니 그래도 회사다니는 느낌이 들었고 약속 잡기에도 비교적 수월했었다.
'설비엔지니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사... (0) | 2022.01.25 |
---|---|
교대 근무 (0) | 2021.12.12 |
왜 설비엔지니어가 되려고 했었을까 (0) | 2021.10.27 |